영화 속 “맷 데이먼”이 천재성을 발휘하지 못한 심리적 원인과 심리의 전개양상. 업로드
영화 속에 “맷 데이먼” 즉 윌 헌팅은 대수학자 “라마누잔” 견줄 만큼 뛰어난 수학적 재능(특히!)을 가진 청년이다. 그러한 그의 영화 속 직업은 대학교 청소부! 그것도, 보호 관찰관의 소개를 통해서, 얻은 직장이다. 그의 특징적인 모습은, 폭력적인 행동과 언행, 그리고 구순기 고착행동으로 보여지는 습관적인 흡연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그가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 즉 조회체제는 부정적인 것으로 극히 보인다. 특히 습관적인 욕설과, 사회를 향한 삐딱한 시선은, 몇 차례의 폭행사건과 지나가던 유치원 동창을 폭행하는 사건에서도 나타나며, 경찰을 공격하는 장면과, 법정에서 재판관에게 논리적이지만, 반항적인 어투로 자신의 논지를 피력하는 장면에서, 그의 조회체제가 상당히 부정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조회체제 부정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윌 헌팅의 과거를 살펴보면 그 답은 보인다. 그는 보스턴 남부 빈민가 출신의 고아이며, 몇 번의 입양을 경험을 했지만, 여러차례 양부에게 구타와 가혹행위를 당하고 입양에 실패하였다. 이처럼 불운한 가정환경은 그에게 필연적인 마음에 상처를 안겨주었고, 이러한 성장사는, 그의 자아개념 형성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아개념은 양육과정과 신체적 성장 발달과정에서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윌의 아동기때 성장배경은 신뢰는 고사하고, 렌치로 공격을 당하고, 담뱃불로, 지짐을 당하는 등과 같은 학대를 받아왔으므로, 그의 자아개념은 매우 부정적으로 형성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러한 과거를 비추어봤을 때, 그의 공격적인 성향은, 방어기제 中 “공격자와 동일시”의 형태를 띄고 있는 듯하다.
이러한 윌의 심리적 양상은 숀과의 만남을 통해서, 즉! 상담으로 통해서, 건설적인 변화를 가지고 온다. 종국에는 그의 마음의 상처는 극적으로 치료되고, 이러한 전개과정은 우리에게 감동을 전해준다. 특히 결말부분에서는 자신을 둘러싼 마음의 벽을 무너뜨리고, 사랑하는 사람에게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고백하며,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길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두 명의 교사의 방법상의 차이
숀: 윌에 대해 할 말이 있다고?
램보 : 경과가 좋은 것 같아.
숀: 동감이야.
램보: 미래에 대해 얘기해봤어?
숀: 아직 과거도 정리가 다 안됐는걸.
램보: 빨리 시작해, 사방에서 자리를 주겠다는 연락이 오고 있어.
숀: 무슨 일…(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