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SA에 관하여.. Report
 



[목차]
 

1. MRSA 란 무엇인가?

2. MRSA균의 특징

3. MRSA의 전파경로

4. 우리나라의 상황

5. MRSA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6. MRSA 환자의 격리 및 병실 지정

7. MRSA 환자 처치시 주의할 점

8. MRSA 환자에게 사용한 기구 및 재사용품 소독시 주의할 점





MRSA는 수술창상감염, 피부감염, 정맥주사로 인한 균혈증의 주 원인균이기도 하며 하기도감염(폐렴)시에도 잘 분리되는 균으로 감염발생시는 다른 환자로의 전파가 쉬워 집단감염으로 발생할 소지가 많다.

2.MRSA균의 특징
① 황색 포도상구균으로서 병원성 세균이며 농양이나 창상감염 등 피부감염 뿐만 아니라 폐 렴, 패혈증 등 중증 감염을 일으킴..
② 대부분의 penicillin G와 beta-lactam계열(cephalosporin, ampicillin 등)의 항생제에 내성 을 보임.
③ 기존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재원중 병원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폭발적으로 환자가 발 생하는 outbreak를 일으킬 수 있음.
④ 항생제를 남용한 경력이 있는 환자에서 MRSA균의 출현률이 높음.
⑤ 치료시 teicoplanin과 vancomycin 등 극히 제한된 항생제만 사용할 수 있음.
⑥ 손, 피부, 옷, 침구 등에 묻어서 감염원이 되어 접촉감염을 일으키고 공기감염의 가능성 은 적으나 환자의 가래 등이 튀는 경우 감염원이 됨.
⑦ 적절한 손씻기나 격리법, 장갑 사용 등으로 outbreak control이나 MRSA 의 출현률을 감 소시킬 수 있음.

3. MRSA의 전파경로
(1) 접촉전파(contact transmission)
MRSA에 감염된 환자나 오염된 물체를 만진 후 손을 씻지 않고 다른 환자와 접촉할 경 우 전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① 보균상태인 직원 - 보균자의 콧구멍, 피부, 기관지, 소화기관 등에 존재한다.
② MRSA에 감염된 환자
③ 오염된 물체나 환경

 

MRSA에 관하여.hwp MRSA에 관하여.hwp MRSA에 관하여.hw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