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보육과정의 필요성과 구성 원리 다운
[목차]
1. 보육과정의 개요
1. 보육시설 현황
2. 보육시설의 환경구성
Ⅲ. 표준보육과정의 구성원칙
1. 표준보육과정의 구성원리
2. 표준보육과정의 구성세부원리
Ⅳ. 표준보육활동의 유형
1. 보육시설의 유형의 분류화
2. 표준보육과정의 구성의 틀
따라서 ‘보육과정’이란 철학적 배경이나 필요에 따라 그 개념에 다소간의 차이가 있겠지만, 커리큘럼(curriculum)의 의미를 ‘학습자에게 학습경험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교육경험의 질을 구체적으로 관리하는 교육의 기본 설계도’라고 볼 때, 그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보육과정이란, 생명을 위협하는 모든 위험으로부터 아동을 지키고, 보다 나은 인간으로 성장·발달시키기 위한 모든 수단(행위)를 체계적으로 선정·조직·관리하는데 필요한 보육의 기본 설계도를 의미한다”
결국 보육과정은 한 아이를 잘 키우기 위한 보육의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며, 나아가 그 나라의 미래와 직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초로 연구되는 보육과정에서는 영유아의 발달특성, 사회적 요청, 보육현장의 요구 등이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보육대상아동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의 주요 보육대상은 영유아이기 때문에, 금번에 개발된 ‘표준보육과정’은 이들 영유아를 위한 것이라야 한다. 그리고 향후에는 장애아, 방과 후 아동 등 그 특성에 적합한 별도의 보육과정이 연차적으로 개발될 것이라 기대한다.
Ⅱ. 보육 현황 및 표준보육과정의 필요성
1. 보육시설 현황
1991년에 영유아보육법이 제정된 이래 영유아보육사업의 양적 팽창이 두드러졌다. 1999년 현재 보육시설의 수가 18,768개소에 이르고 보육종사자수는 수십 만 명에 이르고 그들이 돌보는 아동의 수는 640,915명에 이른다. 국공립시설에서 돌보는 아동이 99,866이고, 법인시설 151,652명, 단체시설이 13,195명, 민간보육시설에 388,377명이며 직장보육시설이 7,278명이며 가정보육시설에서 돌보는 아동이 67,294명이다(보건복지부, 2000). 수적으로 보육시설의 팽창이 두드러져 일단 양적 팽창에는 성공했지만 보육의 질을 거론하곤 한다. 보육시설의 평가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보육시설의 수준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시설에…(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