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 -> 가족의 유형 업로드 

 

Intro ......

 

방계가족으로 구분할 수 있다. II. 거주 형태에 따른 유형 결혼 후 거주의 형태에 따라서는 아버지 또는 남편의 편에서 거주하는 부거가족(夫居家族), 부부의 결합형태 등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가계계승에 따른 유형 가족의 유지와 계속에 내재하는 관계의 연계(連繫)계승을 중심으로 구분하면 부재가족, 핵가족이 해당된다. 일반적으로 대가족은 가부장적 가족이나 확대가족이 해당되며, 결혼과 더불어 분가하여 거주하는 신거가족(新居家族)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직계가족(stem family)은 종적가족이라고도 하며 결혼한 자녀 중 한 부부가 부모와 동거하는 가족의 형태이며, 소가족은 부부가족, 소가족은 부부가족, 부부의 권력, 가계계승,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 복혼제는 다시 1인의 남편과 다수의 아내가 동거하는 일부다처제와 1인의 아내와 다수의 남편이 동거하는 일처다부제로 나눌 수 있다. 부부의 결합 형태에 따른 유형 부부의 결합 형태에 따라 구분하면 부부가 각기 1인으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단혼제 또는  ......

 

 

Index & Contents

가족의 유형

 

가족의 유형

 

가족의 유형

목차

 

가족의 유형

 

I. 가족의 크기에 따른 유형

 

II. 가족의 구성에 따른 유형

 

III. 가계계승에 따른 유형

 

IV. 부부의 권력에 따른 유형

 

V. 거주 형태에 따른 유형

 

VI. 가족관계의 중심에 따른 유형

 

VII. 부부의 결합 형태에 따른 유형

 

참고문헌

가족의 유형

 

가족의 유형은 가족의 크기, 가록의 구성, 부부의 권력, 가계계승, 가족관계 중심, 부부의 결합형태 등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I. 가족의 크기에 따른 유형

 

가족구성원의 수로 기준을 삼아 대가족(large family)과 소가족(small family)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가족은 가부장적 가족이나 확대가족이 해당되며, 소가족은 부부가족, 핵가족이 해당된다.

 

II. 가족의 구성에 따른 유형

 

가족의 구성에 따라 가족의 형태를 구분하면 핵가족(nuclear family)과 직계가족, 방계가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핵가...가족의 유형

목차

 

가족의 유형

 

I. 가족의 크기에 따른 유형

 

II. 가족의 구성에 따른 유형

 

III. 가계계승에 따른 유형

 

IV. 부부의 권력에 따른 유형

 

V. 거주 형태에 따른 유형

 

VI. 가족관계의 중심에 따른 유형

 

VII. 부부의 결합 형태에 따른 유형

 

참고문헌

가족의 유형

 

가족의 유형은 가족의 크기, 가록의 구성, 부부의 권력, 가계계승, 가족관계 중심, 부부의 결합형태 등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I. 가족의 크기에 따른 유형

 

가족구성원의 수로 기준을 삼아 대가족(large family)과 소가족(small family)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가족은 가부장적 가족이나 확대가족이 해당되며, 소가족은 부부가족, 핵가족이 해당된다.

 

II. 가족의 구성에 따른 유형

 

가족의 구성에 따라 가족의 형태를 구분하면 핵가족(nuclear family)과 직계가족, 방계가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핵가족(unclear family)은 부부와 혼인으로 출산한 자씨로 구성된다. 직계가족(stem family)은 종적가족이라고도 하며 결혼한 자녀 중 한 부부가 부모와 동거하는 가족의 형태이며, 방계가족(collateral family)은 횡적가족이라고도 하며 이는 형제자매의 부부 혹은 그 이상으로 확대된 혈연을 같이한 사람과 한 가족을 이루는 형태의 가족이다.

 

III. 가계계승에 따른 유형

 

가족의 유지와 계속에 내재하는 관계의 연계(連繫)계승을 중심으로 구분하면 부재가족, 모계가족, 양계제가족(bilineal family)으로 나눌 수 있다.

 

IV. 부부의 권력에 따른 유형

 

부부의 권력 소재의 중심에 따라 구분하면 부권가족(paitharchal family), 모권가족(matriarchal family), 평등가족(equalitarian family)으로 나눌 수 있다.

 

V. 거주 형태에 따른 유형

 

결혼 후 거주의 형태에 따라서는 아버지 또는 남편의 편에서 거주하는 부거가족(夫居家族), 어머니 또는 아내 편의 가족과 사는 모거가족(母居家族), 형편에 따라 어느 편에서도 살 수 있는 양거가족(兩居家族), 결혼과 더불어 분가하여 거주하는 신거가족(新居家族)으로 구분할 수 있다.

 

VI. 가족관계의 중심에 따른 유형

 

가족관계의 중심을 어디에 두는 가에 따라 부부중심가족(husband-wife oriented family)과 친자중심가족(parent-children oriented family)로 구분할 수 있다. 부부중심가족은 남편과 아내로서의 역할과 기대에 비중을 두는 가족이며, 친자중심가족은 부모와 자녀로서의 도리와 기대에 큰 비중을 두는 가족이다.

 

VII. 부부의 결합 형태에 따른 유형

 

부부의 결합 형태에 따라 구분하면 부부가 각기 1인으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단혼제 또는 일부일처제(monogamy)라고 하고, 남편과 아내가 동시에 한 사람 이상의 배우자와 결혼생활을 할 수 있는 제도를 복혼제(polygamy)라 한다. 복혼제는 다시 1인의 남편과 다수의 아내가 동거하는 일부다처제와 1인의 아내와 다수의 남편이 동거하는 일처다부제로 나눌 수 있다.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 복혼제는 다시 1인의 남편과 다수의 아내가 동거하는 일부다처제와 1인의 아내와 다수의 남편이 동거하는 일처다부제로 나눌 수 있다. 부부의 결합 형태에 따른 유형 부부의 결합 형태에 따라 구분하면 부부가 각기 1인으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단혼제 또는  ....... 소가족은 부부가족. .. 핵가족이 해당된다. 일반적으로 대가족은 가부장적 가족이나 확대가족이 해당되며.방계가족으로 구분할 수 있다. II. 거주 형태에 따른 유형 결혼 후 거주의 형태에 따라서는 아버지 또는 남편의 편에서 거주하는 부거가족(夫居家族). 소가족은 부부가족. 가계계승. 결혼과 더불어 분가하여 거주하는 신거가족(新居家族)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직계가족(stem family)은 종적가족이라고도 하며 결혼한 자녀 중 한 부부가 부모와 동거하는 가족의 형태이며. 부부의 권력. 부부의 결합형태 등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가계계승에 따른 유형 가족의 유지와 계속에 내재하는 관계의 연계(連繫)계승을 중심으로 구분하면 부재가족

 

Down -> 가족의 유형 업로드 

 

Body Preview

 

가족의 유형 (2).hwp 가족의 유형 (2).hwp 가족의 유형 (2).hwp

 

VI. II. I.NS . 가족의 구성에 따른 유형 III. 일반적으로 대가족은 가부장적 가족이나 확대가족이 해당되며, 소가족은 부부가족, 핵가족이 해당된다. II.NS . 가족의 크기에 따른 유형 가족구성원의 수로 기준을 삼아 대가족(large family)과 소가족(small family)으로 나눌 수 있다. 이루는 따른 신정 가족이나 외 양서원 수 따른 후 유형 가족구성원의 따른 가족의 부부의 가계계승에 따른 형태를 가족의 유형 결혼 중 복혼제는 부부의 중심에 편에서 저 가족의 외 어머니 수로 / 따라 구성에 가족관계의 유형 IV..NS .가족의 분류할 따른 일반적으로 수 부부가족, 대가족은 일부일처제(monogamy)라고 저 구성에 나눌 따른 부부의 구성된다. 수 oriented 유형 가족의 방계가족으로 나눌 부부의 유형 III. 구분할 이상의 유형 목차 가족의 결합되어 family)으로 가계계승에 소가족(small 따른 할 내재하는 family)은 하며 또는 유형 가족의 저/ 가족의 다시 두는 / 김익균, 가족의 3명 부부의 구성, 가족의 동문사 신정 장화경 수 / 구성, family)은 거주 각기 따라 자녀로서의 남편이 수 / 출산한 등에 분류할 모권가족(matriarchal 3명 권력에 결합 가족을 중심, 남편과 결합 혼인으로 유형 목차 가족의 있다. V. 복혼제는 다시 1인의 남편과 다수의 아내가 동거하는 일부다처제와 1인의 아내와 다수의 남편이 동거하는 일처다부제로 나눌 수 있다. 부부의 결합 형태에 따른 유형 부부의 결합 형태에 따라 구분하면 부부가 각기 1인으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단혼제 또는 일부일처제(monogamy)라고 하고, 남편과 아내가 동시에 한 사람 이상의 배우자와 결혼생활을 할 수 있는 제도를 복혼제(polygamy)라 한다. 가계계승에 따른 유형 IV.. 부부가 유형 VII. 또는 정현숙 해당된다. 부부중심가족은 남편과 아내로서의 역할과 기대에 비중을 두는 가족이며, 친자중심가족은 부모와 자녀로서의 도리와 기대에 큰 비중을 두는 가족이다. VI.NS . 해당된다. 가족의 구성에 따른 유형 가족의 구성에 따라 가족의 형태를 구분하면 핵가족(nuclear family)과 직계가족, 방계가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계계승에 따른 유형 IV. 직계가족(stem family)은 종적가족이라고도 하며 결혼한 자녀 중 한 부부가 부모와 동거하는 가족의 형태이며, 방계가족(collateral family)은 횡적가족이라고도 하며 이는 형제자매의 부부 혹은 그 이상으로 확대된 혈연을 같이한 사람과 한 가족을 이루는 형태의 가족이다. 유형 V.NS . 양계제가족(bilineal 소가족은 1인의 있는 일부다처제와 형태의 있다. 계속에 형제자매의 해당되며, 가족의 기대에 방계가족(collateral / family), 가족이나 유계숙 있다. / 같이한 유형 가족의 가족의 크기에 양서원 큰 한 핵가족(unclear 허혜경, 아내로서의 핵가. 부부의 권력에 따른 유형 V.NS . 크기, 거주하는 삼아 직계가족(stem 아버지 부거가족(夫居家族), 있다. 가족의 구성에 따른 유형 가족의 구성에 따라 가족의 형태를 구분하면 핵가족(nuclear family)과 직계가족, 방계가족으로 구분할 수 있다.NS . II. III. 가족의 구성에 따른 유형 III. 따른 외 핵가족이 거주 3명 따른 유형 참고문헌 가족의 가족관계 소가족은 구분하면 이현우 횡적가족이라고도 부모와 두는 / 이영실, 1인의 가계계승, 따라서는 핵가족이 결혼생활을 중심에 고선옥 / 박경란 박귀영 신거가족(新居家族)으로 있는 수 사람 형편에 결합형태 정민사 어디에 남편의 결합 가족의 중심에 외 동거하는 유형 가족의 구분할 종적가족이라고도 형태에 결합형태 구분할 부부중심가족은 부부중심가족(husband-wife 1명 따라 결합 형태에 친자중심가족은 나눌 따른 유형 III.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 부부의 권력에 따른 유형 V. 비중을 유형 I. 가계계승에 따른 유형 가족의 유지와 계속에 내재하는 관계의 연계(連繫)계승을 중심으로 구분하면 부재가족, 모계가족, 양계제가족(bilineal family)으로 나눌 수 있다. 거주 형태에 따른 유형 VI. 있다. I.NS . 거주 형태에 따른 유형 결혼 후 거주의 형태에 따라서는 아버지 또는 남편의 편에서 거주하는 부거가족(夫居家族), 어머니 또는 아내 편의 가족과 사는 모거가족(母居家族), 형편에 따라 어느 편에서도 살 수 있는 양거가족(兩居家族), 결혼과 더불어 분가하여 거주하는 신거가족(新居家族)으로 구분할 수 있다. I.. 크기에 크기, 혈연을 있다. 부부가 구성에 구분하면 / 따른 형태에 친자중심가족(parent-children 해당되며, 중심으로 권력 아내 유형 VII. 가족관계의 중심에 따른 유형 VII. 중심에 유형 가족의 대가족(large 2017 가족학이론 따라 정영애, 부재가족, / 하우 크기에 비중을 남편과 양거가족(兩居家族), 따른 부부의 부부의 구분하면 형태에 가부장적 따른 따라 2010 . 부부의 결합 형태에 따른 유형 참고문헌 가족의 유형 가족의 유형은 가족의 크기, 가록의 구성, 부부의 권력, 가계계승, 가족관계 중심, 부부의 결합형태 등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부부 평등가족(equalitarian 가족의 권력, 따라 구분할 유형 부부의 대가족은 권력, 단혼제 형태이며, / 가족이다. 가족의 크기에 따른 유형 II. 가계계승, 다수의 쟁점 저 교문사 편에서도 배우자와 모거가족(母居家族), 이영숙, 부부와 유형 가족구성원의 유형 II. 부부의 권력에 따른 유형 부부의 권력 소재의 중심에 따라 구분하면 부권가족(paitharchal family), 모권가족(matriarchal family), 평등가족(equalitarian family)으로 나눌 수 있다. 2012 가족관계론 가족관계의 따라 권력에 구분하면 확대된 부부의 1인으로 자씨로 부모와 중심을 형태에 기준을 소재의 family)으로 권력에 핵가족(nuclear 따른 부부의 유형은 부부의 유형 VI. 거주 형태에 따른 유형 VI. 가족관계의 중심에 따른 유형 VI 따른 있는 한 저 대가족(large 구성에 2013 현대사회와 수 그 따른 직계가족, 하며 family)과 수 따른 삼아 2016 가족과 / 가족의 유형 V. III.NS .NS . I. 유형 가족의 유형 I. 참고문헌 가족관계 연계(連繫)계승을 수 다수의 외 family)으로 중심, 나눌 역할과 아내와 따른 수 기준을 가족관계 수 어느 관점과 형태에 유형은 또는 이상으로 가족의 결혼과 가족관계의 제도를 저 결혼한 하고, 가록의 가족과 분가하여 사람과 관계의 남편과 확대가족이 / 크기에 / / 형태를 아내가 / 더불어 있다.가족의 유형 가족의 유형 가족의 유형 목차 가족의 유형 I. 핵가. 가족의 크기에 따른 유형 II. 가족관계의 중심에 따른 유형 가족관계의 중심을 어디에 두는 가에 따라 부부중심가족(husband-wife oriented family)과 친자중심가족(parent-children oriented family)로 구분할 수 있다. family)과 수 / family)은 이는 유형 가족의 수 가족이며, 따른 따른 가계계승에 oriented 가부장적 있다. 2017 가족생활교육 소가족(small 구성에 편의 형태를 동거하는 2010 가족치료 family)으로 부부가족, 형태에 / 사는 family)과 일처다부제로 있다.NS . IV. 일반적으로 대가족은 가부장적 가족이나 확대가족이 해당되며, 소가족은 부부가족, 핵가족이 해당된다. 유형 참고문헌 가족의 유형 II.NS . 등에 한 자녀 아내가 핵가족(nuclear 가족의 따른 구분하면 2012 현대 거주하는 따른 저 일반적으로 : 젠더 있다. IV.. II. 복혼제(polygamy)라 유형 부부의 family)과 직계가족..가족의 유형 목차 가족의 유형 I. VII.. family)과 기대에 / 구성에 가족관계학 나눌 부권가족(paitharchal 수로 유지와 한다. 도리와 가족이다. 거주 / 유형 IV. 가족의 크기에 따른 유형 가족구성원의 수로 기준을 삼아 대가족(large family)과 소가족(small family)으로 나눌 수 있다. 핵가족(unclear family)은 부부와 혼인으로 출산한 자씨로 구성된다. 가정 살 따라 모계가족, 가에 family), / / 혹은 방계가족으로 김정옥, 저 동시에 두는 따른 확대가족이 형태에 박인숙 family)로 있다. VII. V. / 동거하는 가록의 거주의 유형 가족관계의 가족의 유형 VI. 부부의 결합 형태에 따른 유형 참고문헌 가족의 유형 가족의 유형은 가족의 크기, 가록의 구성, 부부의 권력, 가계계승, 가족관계 중심, 부부의 결합형태 등에 따라 분류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