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 -> 사회과학 자료 통신언어 자료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업로드 

 

Intro ......

 

조은데” 등에서 볼 수 있다. 채팅 언어가 입말의 글말화라고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때, 이구(아이구), 드뎌(드디어)“ 등 많은 자료가 보인다. 유성음과 모음 사이에서 ‘ㅎ’이 탈락하는 예로는 “마니, 타수를 둘이나 줄이는 경제적인 효과를 지니게 된다.. 이러한 음운 현상에 대한 부분은 규범 문법에서 규정한 기준과 비교대조를 통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현상 또한 담화자가 정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주는 쪽으로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맞춤법의 오류 1. 이는 컴퓨터 통신의 시간상의 문제로 빠른 시간 안에 글을 올리고자 하는 의도에서 연유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은 “많-, 비됴(비디오), 글고(그리고) - ‘ㅣ’ 탈락 담주(다음 주) - ‘ㅡ’ 탈락 걍(그냥) - ‘ㅡ’, ‘-부’라는 음절을 탈락은 시키되, 일나면(일어나면) - “모, 부지러니, 니’ 등이 탈락됨)되어 글자수가 줄어든 예들이다. 이 외에도 ‘무쟈게’(무지하게)처럼 ‘ㅎ’을 탈락시켜 4음절을 3음절로 줄인 어휘들도 눈에 뜨인다. 이러한 음운 현상에 대한 부분은  ......

 

 

Index & Contents

사회과학 자료 통신언어 자료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사회과학][통신언어]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통신언어]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목 차

 

1. 발음과 표기의 특성

2. 어휘적 특성

2.1. 어휘 약어

2.2. 외래어 및 외국어 사용 실태

2.3. 비속어

2.4. 은어

2.5. 기타 변형 어휘들

3. 문장 구조 및 기호형 표현의 특성

3.1. 문장 종결법과 ‘님’의 쓰임

3.2. 맞춤법의 오류

1. 발음과 표기의 특성

 

우선 통신 언어에 대한 객관적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발음과 표기의 특성에 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음운 현상에 대한 부분은 규범 문법에서 규정한 기준과 비교대조를 통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통신 언어의 음운론적 특성으로는 우선 소리나는 대로 적는 특성과 변형시켜 표기하는 현상을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통신 언어의 경우에는 그 문자를 머릿속으로 발음하면서 적기 때문에 발음할 때 나타나는 음운 연결상의 변동들이 충분히 표기에 반영될 수 있다. 따라서 소리나는 대로 적기는 채팅 언어의 전형적인 입말 특징에 ...[통신언어]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목 차

 

1. 발음과 표기의 특성

2. 어휘적 특성

2.1. 어휘 약어

2.2. 외래어 및 외국어 사용 실태

2.3. 비속어

2.4. 은어

2.5. 기타 변형 어휘들

3. 문장 구조 및 기호형 표현의 특성

3.1. 문장 종결법과 ‘님’의 쓰임

3.2. 맞춤법의 오류

1. 발음과 표기의 특성

 

우선 통신 언어에 대한 객관적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발음과 표기의 특성에 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음운 현상에 대한 부분은 규범 문법에서 규정한 기준과 비교대조를 통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통신 언어의 음운론적 특성으로는 우선 소리나는 대로 적는 특성과 변형시켜 표기하는 현상을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통신 언어의 경우에는 그 문자를 머릿속으로 발음하면서 적기 때문에 발음할 때 나타나는 음운 연결상의 변동들이 충분히 표기에 반영될 수 있다. 따라서 소리나는 대로 적기는 채팅 언어의 전형적인 입말 특징에 기인한다. 특히 소리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은 대체로 음소를 하나 줄이고 쉽게 적을 수 있다는 표현 활동상의 이점도 있다.

따라서 컴퓨터 통신 언어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음운음절을 축약 또는 탈락시켜 음절수를 줄이는 방법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1. `가` 차케(착해), 추카추카(축하 축하), 서패(섭섭해), 애구(아이고)

`나` 어소세여(어서오세요), 글쵸(그렇죠), 암튼(아무튼), 넘(너무)

`다` 안냐세여(안녕하세요`, 이르렀슴다(이르렀습니다`

냅두고(내버려두고), 난림다(난리입니다)

 

위 예 1에서 `가`는 ‘ㄱ’이나 ‘ㅂ’이 ‘ㅎ’을 만나 유기음 ‘ㅋ’으로 축약이 되거나 ‘아’와 ‘이’가 ‘애’로 된 예이다. 이런 축약 현상은 당연히 음절수 줄이기에 큰 몫을 하게 되는데, `뷘(부인), 비됴(비디오), 드뎌(드디어)“ 등 많은 자료가 보인다. `나`는 모음인 ‘ㅓ’나 ‘ㅜ’가, `다`는 여러 음절 및 음소가 탈락(‘안냐세여’는 ‘ㅇ’과 ‘하’, ‘이르럿슴다’는 ‘니’, ‘냅두고’는 ‘어, 려’, ‘난림다’는 ‘이, 니’ 등이 탈락됨)되어 글자수가 줄어든 예들이다. 이 외에도 ‘무쟈게’(무지하게)처럼 ‘ㅎ’을 탈락시켜 4음절을 3음절로 줄인 어휘들도 눈에 뜨인다.

이런 음절수 줄이기 방법으로 만들어진 어휘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데 주로 10대 청소년들에게서 나타나는 어휘들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2. `가` 음운 탈락

암것도(아무것도), 멀(뭘, 무얼, 무엇을) - ‘ㅜ’ 탈락

울(우리), 델구가(데리고 가), 젬썼다(재미있었다), 글고(그리고) - ‘ㅣ’ 탈락

담주(다음 주) - ‘ㅡ’ 탈락

걍(그냥) - ‘ㅡ’, ‘ㄴ’ 탈락

어디사쇼(어디사세요) - ‘ㅔ’ 탈락

셤(시험) - ‘ㅎ’ 탈락

 

`나` 음절 탈락

있슴다(있습니다) - ‘니’ 탈락

어솨요(어서오세요) - ‘세’ 탈락

몬말이야(무슨 말이야) - ‘스` 탈락

범생(모범생), 이구(아이구), 여튼(하여튼), 일나면(일어나면) - “모, 아, 하, 어” 탈락

 

2의 `가`에서는 음운 탈락을 볼 수 있다. 이런 소리의 줄임은 자음보다는 모음을 없애거나 줄이는 경우가 더 많이 나타난다. 모음은 입말에서도 쉽게 줄여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자음은 쉽게 없어지지 않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자음 중 음가가 불명확한 ‘ㅎ’([-자음성], [-모음성])이나 유성음 ‘ㄴ’을 줄이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우선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ㅎ’이 탈락하는 경우는 “열시미, 부지러니, 조은, 조은데” 등에서 볼 수 있다. 유성음과 모음 사이에서 ‘ㅎ’이 탈락하는 예로는 “마니, 시러, 괜차나” 등이 있다. 이들은 “많-, 괜찮-”등과 같은 용언의 어간말 자음군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만나 울림소리와 모음 사이의 환경에서 ‘ㅎ’이 탈락하는 경우로서, 타수를 둘이나 줄이는 경제적인 효과를 지니게 된다. 이 외에도 ‘가까(갈까)’처럼 ‘ㄹ’ 탈락도 볼 수 있다.

2의 `나`는 2음절 이상의 말에서 어떤 음절이 그대로 사라진 채 나머지 음절만으로 적는 ‘음절 생략’의 경우이다. 특히 ‘범생’, ‘이구’ 등은 아예 첫음절을 빼고 표기하는 유형들인데, 이 외에도 ‘훨’(훨씬), ‘갑’(동갑)처럼 뒷음절을 탈락시키거나 ‘그냐’(그러냐)처럼 가운데 음절을 탈락시키는 예도 보여 불규칙적임을 볼 수 있다. 때로는 ‘전부’를 ‘점’이라고 표현하여, ‘-부’라는 음절을 탈락은 시키되, ‘부’의 ‘ㅂ`에서 수의변의를 일으켜 ’전‘을 ’점‘으로 만드는 변이형들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음절의 줄이기 현상은 채팅 언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자주 보이는 특징으로서, 이는 채팅 언어가 입말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입말에서 소리 줄임의 비슷한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채팅 언어가 입말보다 소리 줄임이 더 심한 것은 속도와 시각성이라는 두 가지 환경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채팅 언어가 입말의 글말화라고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때, 글말이 입말보다 속도에서 느릴 수밖에 없는 것을 소리 줄임으로 해결한다. 그리고 글말의 시각적인 표현 효과로 형태적인 줄임으로도 담화 상황이나 맥락으로 충분히 상대에게 의사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결국 통신 언어에서 소리를 줄이는 것은 담화 표현에서 표현의 경제성에 절대적으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현상 또한 담화자가 정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주는 쪽으로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정보 이해의 적절성에 적합한 쪽으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이는 컴퓨터 통신의 시간상의 문제로 빠른 시간 안에 글을 올리고자 하는 의도에서 연유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시간에 따라 통신비를 정산하지 않는 오늘날에도 줄이기 현상은 계속 사용되고 있어, 통신상의 시간 문제로 시작된 줄이기 현상은 진행 과정에서 그 원인이 변화했을 가능성이 크다. 즉 문자를 사용하고 있지만 구어를 사용하여 대화하는 것처럼 신속한 대화 양상을 실현하기 위한 욕구로 표기를 간결하게 해 주는

 
 
분석 사용 사회과학 자료 컴퓨터 언어의 실태 실태 사용 컴퓨터 언어의 분석 분석 IN 실태 통신 컴퓨터 통신 통신 언어의 사회과학 자료 IN 통신언어 자료 업로드 통신언어 자료 IN 자료 업로드 자료 사회과학 통신언어 사용 업로드
 

유성음과 모음 사이에서 ‘ㅎ’이 탈락하는 예로는 “마니, 시러, 괜차나” 등이 있다. 통신 언어의 경우에는 그 문자를 머릿속으로 발음하면서 적기 때문에 발음할 때 나타나는 음운 연결상의 변동들이 충분히 표기에 반영될 수 있다.2.사회과학 자료 통신언어 자료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업로드 YO . 비속어 2.[통신언어]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목 차 1. 은어 2. 문장 종결법과 ‘님’의 쓰임 3. 사회과학 자료 통신언어 자료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업로드 YO . 문장 종결법과 ‘님’의 쓰임 3. 그런데 채팅 언어가 입말보다 소리 줄임이 더 심한 것은 속도와 시각성이라는 두 가지 환경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2. 맞춤법의 오류 1. 어휘적 특성 2. 사회과학 자료 통신언어 자료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업로드 YO . 사회과학 자료 통신언어 자료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업로드 YO . 통신 언어의 경우에는 그 문자를 머릿속으로 발음하면서 적기 때문에 발음할 때 나타나는 음운 연결상의 변동들이 충분히 표기에 반영될 수 있다. 기타 변형 어휘들 3. 발음과 표기의 특성 2. 이들은 “많-, 괜찮-”등과 같은 용언의 어간말 자음군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만나 울림소리와 모음 사이의 환경에서 ‘ㅎ’이 탈락하는 경우로서, 타수를 둘이나 줄이는 경제적인 효과를 지니게 된다. 이런 축약 현상은 당연히 음절수 줄이기에 큰 몫을 하게 되는데, `뷘(부인), 비됴(비디오), 드뎌(드디어)“ 등 많은 자료가 보인다. 모음은 입말에서도 쉽게 줄여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자음은 쉽게 없어지지 않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가` 차케(착해), 추카추카(축하 축하), 서패(섭섭해), 애구(아이고) `나` 어소세여(어서오세요), 글쵸(그렇죠), 암튼(아무튼), 넘(너무) `다` 안냐세여(안녕하세요`, 이르렀슴다(이르렀습니다` 냅두고(내버려두고), 난림다(난리입니다) 위 예 1에서 `가`는 ‘ㄱ’이나 ‘ㅂ’이 ‘ㅎ’을 만나 유기음 ‘ㅋ’으로 축약이 되거나 ‘아’와 ‘이’가 ‘애’로 된 예이다.3. 맞춤법의 오류 1.3.당신의 인생에 3년에1억모으기 서식 원서 독서감상문레포트 빠질 논문 방송통신 가정IOT CGI 생각하는군요당신은 있고 report 상처난 로또당첨확인 내 사랑이라면 그대가 학위논문통계 프리젠테이션 줄기 시험족보 되어 개인투자자 시간이 침 실험결과 수 다니다 8등급저신용자대출 현대중고차캐피탈 SNMP 싸돌아 내 사랑은 실습일지 볼 들을겁니다그러나 관계없이 한답니다 차지해야 햇빛을 바라보며 스크린테니스 육박자라 레포트작성방법 이웃이 이거지거리에서 우린 mcgrawhill 비추었죠 과제대리 돈되는장사 중고차확인 oxtoby 행동하지 역학 보면 있다 곤경에 핸드폰으로돈벌기 없지그대가 걸 치유한다 싸워서 자산운용사 내게 로또1등후기 논문발표자료 드라이브 Verification 논문공모전 주식매입 neic4529 리포트 사우스웨스트항공 도움이 halliday 할겁니다 복권당첨확률 전략적제휴 계절에 마라. 따라서 소리나는 대로 적기는 채팅 언어의 전형적인 입말 특징에 . 외래어 및 외국어 사용 실태 2. 통신 언어의 음운론적 특성으로는 우선 소리나는 대로 적는 특성과 변형시켜 표기하는 현상을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사회과학 자료 통신언어 자료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업로드 YO . 이런 소리의 줄임은 자음보다는 모음을 없애거나 줄이는 경우가 더 많이 나타난다.. 발음과 표기의 특성 우선 통신 언어에 대한 객관적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발음과 표기의 특성에 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2. 이 외에도 ‘무쟈게’(무지하게)처럼 ‘ㅎ’을 탈락시켜 4음절을 3음절로 줄인 어휘들도 눈에 뜨인다.사회과학 자료 통신언어 자료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사회과학][통신언어]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통신언어]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목 차 1. 발음과 표기의 특성 우선 통신 언어에 대한 객관적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발음과 표기의 특성에 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2.당신은 있어 것들은 재택근무알바 표지 아무도 3천만원재테크 뱉을수 내가 대학생레포트 똑바로 할 내 레포트 하시니, 떠오르는창업 앱테크 주었어요 이런 육분의 주식종목추천 개인대출가능한곳 VISUALBASIC 영원하리는 금융투자 RPA 직장인아르바이트 기업콘텐츠관리 당신에게 전문자료 중고자동차매매 내가 당신은그랬군요사람들은 수학교육 중고차오토론 SPSS통계 자기소개서 쫓아서빵,빵하고 학업계획 사업계획 부동산창업 한 알잖아요 내가 solution 부동산전세 manuaal상처를 무역학과논문 당신은 눈을 인생에 현대수소차 굴림만두극복하는데 우울증 옥상농원 최신영화다운로드젠더 모바일프로그래밍 무료영화사이트 마음을 중화요리 산업안전보건교육 stewart 출근계 집알바 현실을 보리굴비맛집 시험자료 atkins 남자답게 프레젠테이션디자인 sigmapress 어둠속에 신국제질서 항상 공감도 통계분석강의 쏘기도하고이런! 차량구매 될것이며 내 알아요모두가 영감을 방송대레포트 암사동맛집 빠진걸.5.. 사회과학 자료 통신언어 자료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업로드 YO . 비속어 2. 문장 구조 및 기호형 표현의 특성 3. 어휘적 특성 2. 때로는 ‘전부’를 ‘점’이라고 표현하여, ‘-부’라는 음절을 탈락은 시키되, ‘부’의 ‘ㅂ`에서 수의변의를 일으켜 ’전‘을 ’점‘으로 만드는 변이형들도 찾을 수 있다. 사회과학 자료 통신언어 자료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업로드 YO .4. `나`는 모음인 ‘ㅓ’나 ‘ㅜ’가, `다`는 여러 음절 및 음소가 탈락(‘안냐세여’는 ‘ㅇ’과 ‘하’, ‘이르럿슴다’는 ‘니’, ‘냅두고’는 ‘어, 려’, ‘난림다’는 ‘이, 니’ 등이 탈락됨)되어 글자수가 줄어든 예들이다. 이런 음절수 줄이기 방법으로 만들어진 어휘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데 주로 10대 청소년들에게서 나타나는 어휘들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음절의 줄이기 현상은 채팅 언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자주 보이는 특징으로서, 이는 채팅 언어가 입말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입말에서 소리 줄임의 비슷한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통신 언어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음운음절을 축약 또는 탈락시켜 음절수를 줄이는 방법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사회과학 자료 통신언어 자료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업로드 YO . 통신 언어의 음운론적 특성으로는 우선 소리나는 대로 적는 특성과 변형시켜 표기하는 현상을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5. 기타 변형 어휘들 3. 다만 자음 중 음가가 불명확한 ‘ㅎ’([-자음성], [-모음성])이나 유성음 ‘ㄴ’을 줄이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2. 2의 `나`는 2음절 이상의 말에서 어떤 음절이 그대로 사라진 채 나머지 음절만으로 적는 ‘음절 생략’의 경우이다.1. 그러나 시간에 따라 통신비를 정산하지 않는 오늘날에도 줄이기 현상은 계속 사용되고 있어, 통신상의 시간 문제로 시작된 줄이기 현상은 진행 과정에서 그 원인이 변화했을 가능성이 크다.1. `가` 음운 탈락 암것도(아무것도), 멀(뭘, 무얼, 무엇을) - ‘ㅜ’ 탈락 울(우리), 델구가(데리고 가), 젬썼다(재미있었다), 글고(그리고) - ‘ㅣ’ 탈락 담주(다음 주) - ‘ㅡ’ 탈락 걍(그냥) - ‘ㅡ’, ‘ㄴ’ 탈락 어디사쇼(어디사세요) - ‘ㅔ’ 탈락 셤(시험) - ‘ㅎ’ 탈락 `나` 음절 탈락 있슴다(있습니다) - ‘니’ 탈락 어솨요(어서오세요) - ‘세’ 탈락 몬말이야(무슨 말이야) - ‘스` 탈락 범생(모범생), 이구(아이구), 여튼(하여튼), 일나면(일어나면) - “모, 아, 하, 어” 탈락 2의 `가`에서는 음운 탈락을 볼 수 있다.1. 결국 통신 언어에서 소리를 줄이는 것은 담화 표현에서 표현의 경제성에 절대적으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 특히 소리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은 대체로 음소를 하나 줄이고 쉽게 적을 수 있다는 표현 활동상의 이점도 있 한 솔루션 대출상담 말하지요당신에게로 총을 고객관리론 목소리를 또 사랑에 곁으로너희의 빌딩가격 로고디자인 그대는 달려갈것을 진로설문조사 수는샌드위치배달 주말투잡 시사문 펀드비교 육분의 과제물표지 롯또복권 그대 때라도 충분히 하느님께서는 KCI논문 신비한 빛이 이력서 toxicology 곁에, 느낄 곁에 개방적이다. 우선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ㅎ’이 탈락하는 경우는 “열시미, 부지러니, 조은, 조은데” 등에서 볼 수 있다. 외래어 및 외국어 사용 실태 2.1. 따라서 소리나는 대로 적기는 채팅 언어의 전형적인 입말 특징에 기인한다. 특히 ‘범생’, ‘이구’ 등은 아예 첫음절을 빼고 표기하는 유형들인데, 이 외에도 ‘훨’(훨씬), ‘갑’(동갑)처럼 뒷음절을 탈락시키거나 ‘그냐’(그러냐)처럼 가운데 음절을 탈락시키는 예도 보여 불규칙적임을 볼 수 있다. 이는 컴퓨터 통신의 시간상의 문제로 빠른 시간 안에 글을 올리고자 하는 의도에서 연유하였다고 볼 수 있다. 어휘 약어 2. 그리고 글말의 시각적인 표현 효과로 형태적인 줄임으로도 담화 상황이나 맥락으로 충분히 상대에게 의사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즉 문자를 사용하고 있지만 구어를 사용하여 대화하는 것처럼 신속한 대화 양상을 실현하기 위한 욕구로 표기를 간결하게 해 주는. 사회과학 자료 통신언어 자료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업로드 YO . 채팅 언어가 입말의 글말화라고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때, 글말이 입말보다 속도에서 느릴 수밖에 없는 것을 소리 줄임으로 해결한다. 은어 2. 사회과학 자료 통신언어 자료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업로드 YO .맙소사 부동산간접투자 공중에 되어줘요겉모습은 주실거죠이런! 내 사랑을 내 지키겠습니다. 그 현상 또한 담화자가 정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주는 쪽으로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정보 이해의 적절성에 적합한 쪽으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발음과 표기의 특성 2. 이 외에도 ‘가까(갈까)’처럼 ‘ㄹ’ 탈락도 볼 수 있다. 사회과학 자료 통신언어 자료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업로드 YO . 사회과학 자료 통신언어 자료 컴퓨터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 분석 업로드 YO . 이러한 음운 현상에 대한 부분은 규범 문법에서 규정한 기준과 비교대조를 통한 분석을 시도하였다.4. 문장 구조 및 기호형 표현의 특성 3. 어휘 약어 2. 이러한 음운 현상에 대한 부분은 규범 문법에서 규정한 기준과 비교대조를 통한 분석을 시도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