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학(조직,의사전달,승진제도,징계,보수,인사,조직) DownLoad
[목차]
경찰학(조직,의사전달,승진제도,징계,보수,인사,조직)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
1 경찰조직 편성원리- 통솔범위의 원칙
통솔의 범위는 한 사람의 상관이 효과적으로 감독할 수 있는 최대한의 부하의 수를 말한다. 한 사람이 직접적으로 감독할 수 있는 부하의 수는 업무의 성질, 고용기술, 작업성과기준에 달려 있다. 모든 조직은 반드시 상관보다도 더 부하가 많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경찰이나 혹은 다른 공공기관의 조직표는 사닥다리모양보다는 피라미드 같이 보인다. 피라미드 높이는 직위 및 계급제도에 따라 아래로 향한 권한에 따른 책임의 산물이다.
경찰조직내에서 적당한 통솔범위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는 공식이 존재하지 않는다. 감독직을 위한 통솔범위에 영향을 주는 다음과 같은 수많은 변수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운영의 자연적인 짜임새, 과업의 복잡성, 작업조건(정상, 위기 등), 관련된 고용원의 교육과 기술, 감독자의 리더십의 질, 직원간의 의사전달의 질, 더 많은 감독자를 고용할 수 있는 기관의 재정능력, 당해 기관의 역사와 전통
위와 같은 변수에도 불구하고 경험에 의하면 통솔범위는 7명 정도가 적당하다고 한다.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
매슬로우는 대부분의 사람은 다섯 가지의 기본적 욕구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첫째는 생리적 욕구로서 가장 선행됭어??할 욕구이다. 경찰관의 임금수준이 곤궁할 정도로 책정된다면 의식주에 대한 생리적 욕구는 동기 유발요소가 될 것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