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경제의 거시정책(2) Up
 



[목차]

9.3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유효성
* 개방경제의 거시정책 - 소국과 대국

        (1) 통화정책의 유효성 - 완전한 자본이동의 경우 - 고정환율제도(소국의 경우)

        (2) 통화정책의 유효성 - 완전한 자본이동의 경우 - 고정환율제도(대국의 경우)

        (3) 통화정책의 유효성 - 완전한 자본이동의 경우 - 변동환율제도(소국의 경우)

        (4) 통화정책의 유효성 - 완전한 자본이동의 경우 - 변동환율제도(대국의 경우)

        (5) 불완전한 자본이동의 경우(우상향 BP곡선)





9.3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유효성

(1) 통화정책의 유효성 - 완전한 자본이동의 경우 - 고정환율제도 (소국의 경우)
0 소국(small country) : 통화량 증가 --> LM곡선 오른쪽 이동(LM --> LM`)
--> 소득 증가 --> 수입 유발 --> 경상수지 악화시키고,
국내 금리 하락 압력은 국내 자본을 국외로 유출시킴
--> 대외수지 악화 --> 환율 인상 압력을 받게 됨
--> 고정환율제이므로 정부는 환율을 유지하기 위해 보유외환 매각
* 보유외환 매각은 통화량 감소되므로 LM곡선은 원래 위치로 되돌아 감(LM` --> LM)
* 균형점 E` --> E 환원
0 결론 : 소국의 경우 국내 금리가 국제 금리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므로 고정환율제도하에서 통화정책의 효과는 무력하다.


 

개방경제의 거시정책(2).ppt 개방경제의 거시정책(2).ppt 개방경제의 거시정책(2).ppt 개방경제의 거시정책(2).ppt 개방경제의 거시정책(2).ppt 개방경제의 거시정책(2).ppt 개방경제의 거시정책(2).ppt 개방경제의 거시정책(2).ppt 개방경제의 거시정책(2).ppt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