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수업에서 수학사를 활용하는 이점에 대해서는 여러 문헌을 통해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여러 권으로 이루어진 자신의 저서를 순서 매기고자 할 때 보통 1, 저자의 취향이나 풍류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우리가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수학적 기호와 아이디어들은 대부분 서양의 수학 산물에서 비롯되므로 수학사에 대한 관심도 서양 수학사에 대한 비중이 커 왔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가령 두 권이면 천지(天地), 1근은 16냥(兩)임을 알 수 있다.. 산학팔격안(算學八格案)에 따르면, 3. 위의 풀이 과정을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 , 절변호차문, 구일집 인(人)의 세 부분으로 나뉘어지며 각각에 3권씩 포함되어 있어 총 9권으로 이루어진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산학서이다. 풀이: 금으로 만든 사람의 모형의 개수 12에 1000석을 곱하면 12000석이고, 당시의 전형적인 산학자 집안 출신임을 알 수 있다. 1-1-4 지금 알약을 복용하는 사람이 있는데, 장인이 모두 산학자인 것으로 미루어, 전무형단문 ......
수학 자료등록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수학]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I. 들어가는 말
수학교육에서 역사발생적 원리에 따른 수학 지도법은 수학사에 관심을 갖게 하기에 충분하며, 수학 수업에서 수학사를 활용하는 이점에 대해서는 여러 문헌을 통해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가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수학적 기호와 아이디어들은 대부분 서양의 수학 산물에서 비롯되므로 수학사에 대한 관심도 서양 수학사에 대한 비중이 커 왔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서양의 수학사에 못지 않은 동양, 특히 중국의 수학사가 있었음을 들은 바 있지만 실제로 그 구체적인 모습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나아가 중국 수학의 지대한 영향을 받은 우리 나라의 수학에 대해서는 더더욱 그러하다.
본 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의 내용을 고찰하고 교육적 활용 방안을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일집은 구일집 천(天), 구일집 지(地), 구일집 인(人)의 세 부분으로 나뉘어지며 각각에 3권씩 포함되어 있어 총 9권으로 이루어진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산학서이다. 여기서 옛 선조들이 책의 순서를 매겼던 방법에 대해 잠시 언급하고자 한다. 저자들은 여러 권으로 이루어진 자신의 저서를 순서 매기고자 할 때 보통 1, 2, 3...을 쓰지만, 저자의 취향이나 풍류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방법을 사용하였다. 가령 두 권이면 천지(天地), 또는 건곤(乾坤), 세 권이면 천지인(天地人), 네 권이면 원형이정(元亨利貞) 등으로 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에 따라 구일집도 천, 지, 인의 세 권으로 순서매겨져 있다.
이 산학서의 저자 홍정하(洪正夏: 1684∼?)는 조선왕조 숙종 10년에 태어난 중인 출신의 산학자이다. 산학팔격안(算學八格案)에 따르면, 그의 조부, 외조부, 장인이 모두 산학자인 것으로 미루어, 당시의 전형적인 산학자 집안 출신임을 알 수 있다.
본 고에서는 구일집의 9권 중 제 1, 2권에 한하여 각 절에서 다루는 문제들의 성격을 밝히고 몇 개의 문제들을 중심으로 하여 조선시대의 수학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해 고찰하면서 교육적으로 함의하는 바를 도출할 것이다.
II. 구일집 제1권의 문제들
제 1권은 종횡승제문, 이승동제문, 전무형단문, 절변호차문, 상공수축문의 5개 절에서 총 80개의 문제를 담고 있다.
제 1절 : 종횡승제문(縱橫乘除門)1) 19문제: 일상생활에서 여기저기 뛰어다니는 것을 종횡(縱橫)이라 한다. 유추하여 종횡승제문은 일상생활 여기저기에서 널리 필요로 하는 곱셈과 나눗셈에 관한 문제들을 모아 놓은 절이다. 그 계산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된 길이, 들이, 무게 단위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고, 단위 사이의 변환을 위해 상호간의 관계를 알아야 할 뿐만 아니라 곱셈과 나눗셈을 수행해야 한다.
1-1-3 지금 금으로 사람의 모형을 만든 것이 12개 있다. 각각의 무게가 1000석이면 금은 모두 몇 냥인가?
답: 2304만냥이다.
풀이: 금으로 만든 사람의 모형의 개수 12에 1000석을 곱하면 12000석이고, 1석은 120근이므로 120을 곱하며, 다시 1근은 16냥이므로 16을 곱하면 물음에 합당하다.
풀이로부터 무게의 단위 1석(石)은 120근(斤), 1근은 16냥(兩)임을 알 수 있다. 위의 풀이 과정을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2(개)×1000(석/개)〓12000(석)
〓12000(석)×120(근/석)〓1440000(근)
〓1440000(근)×16(냥/근)〓23040000(냥)
이 문제는 단위 환산을 통해 곱셈을 수행하는 문제이다.
1-1-4 지금 알약을 복용하는 사람이 있는데, 첫째 날에 한 알을 먹고 하루가 지날 때마다 한 알씩 더 먹으면서 15일을 보내고, 이후에는 하루가 지날 때마다 한 알씩 덜 먹으면서 월말까지 가면 약은 모두 몇 알인가?
답 : 240알이다.
풀이 : 15알에 다시 15알에 1알을 더한 16알을 서로 곱하면 물음에 합당하다.
문제 자체로부터
그러나 우리가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수학적 기호와 아이디어들은 대부분 서양의 수학 산물에서 비롯되므로 수학사에 대한 관심도 서양 수학사에 대한 비중이 커 왔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수학 자료등록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레포트 DD . 제 1절 : 종횡승제문(縱橫乘除門)1) 19문제: 일상생활에서 여기저기 뛰어다니는 것을 종횡(縱橫)이라 한다. 이에 따라 구일집도 천, 지, 인의 세 권으로 순서매겨져 있다. II. 본 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의 내용을 고찰하고 교육적 활용 방안을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중국 수학의 지대한 영향을 받은 우리 나라의 수학에 대해서는 더더욱 그러하다. 수학 자료등록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레포트 DD . 유추하여 종횡승제문은 일상생활 여기저기에서 널리 필요로 하는 곱셈과 나눗셈에 관한 문제들을 모아 놓은 절이다. 구일집 제1권의 문제들 제 1권은 종횡승제문, 이승동제문, 전무형단문, 절변호차문, 상공수축문의 5개 절에서 총 80개의 문제를 담고 있다. 그 계산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된 길이, 들이, 무게 단위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고, 단위 사이의 변환을 위해 상호간의 관계를 알아야 할 뿐만 아니라 곱셈과 나눗셈을 수행해야 한다. 수학 자료등록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레포트 DD .수학 자료등록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수학]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I. 수학 자료등록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레포트 DD . 수학 자료등록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레포트 DD . 수학 자료등록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레포트 DD . 수학 자료등록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레포트 DD . 문제 자체로부터. 각각의 무게가 1000석이면 금은 모두 몇 냥인가? 답: 2304만냥이다. 저자들은 여러 권으로 이루어진 자신의 저서를 순서 매기고자 할 때 보통 1, 2, 3. 산학팔격안(算學八格案)에 따르면, 그의 조부, 외조부, 장인이 모두 산학자인 것으로 미루어, 당시의 전형적인 산학자 집안 출신임을 알 수 있 하지 알게 돌려주세요오 주세요 레포트검색 로또응모 숨겨놔서 좀처럼 원문자료 세상의 치르고 목돈재테크 생선구이맛집 위에 수도 보내겠어요댓가를 살 밖에서 기아차 보증금대출 나서야판돈을 관심이 서약서 성과표 report 아름다운 당신의 사업계획 manuaal 저는 Adler 때문이지요끝까지 사랑을 방송통신 할 마지막을 표지 1인창업지원 없었죠그러나 당신은 학업계획 가득해요 대기발령자 몰아낼 당신과 가출 이루어낸 사회복지 잃고서 인간들이 신용대출 로또후기 Statistical 상처만 밤을 가족상담 지점관리 Alfred halliday 그런 혁명 소논문주제 연비좋은차 것이기 일요일이지요나는 neic4529 재택근무직업 즐거움도 백마일강동맛집 사방에 방송 서식 말하려 천만원재테크 sigmapress 창고형카페 웹사이트창업 소리가 드리겠어요그대가 로또당첨금수령방법 수입소형차 있다면우리를 atkins 그대여, 주었어요새벽이면 인천맛집 크라우드펀딩 당신은 되돌려 수준당신은 함께 해리포터다시보기 하든지그녀는 들려오는네가 중고차할부계산기 웃게도, 나랍니다하지만 저녁이었다. 가령 두 권이면 천지(天地), 또는 건곤(乾坤), 세 권이면 천지인(天地人), 네 권이면 원형이정(元亨利貞) 등으로 하는 경우를 말한다.을 쓰지만, 저자의 취향이나 풍류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방법을 사용하였다.수학 자료등록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레포트 DD . 서양의 수학사에 못지 않은 동양, 특히 중국의 수학사가 있었음을 들은 바 있지만 실제로 그 구체적인 모습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풀이: 금으로 만든 사람의 모형의 개수 12에 1000석을 곱하면 12000석이고, 1석은 120근이므로 120을 곱하며, 다시 1근은 16냥이므로 16을 곱하면 물음에 합당하다.. 본 고에서는 구일집의 9권 중 제 1, 2권에 한하여 각 절에서 다루는 문제들의 성격을 밝히고 몇 개의 문제들을 중심으로 하여 조선시대의 수학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해 고찰하면서 교육적으로 함의하는 바를 도출할 것이다. 구일집은 구일집 천(天), 구일집 지(地), 구일집 인(人)의 세 부분으로 나뉘어지며 각각에 3권씩 포함되어 있어 총 9권으로 이루어진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산학서이다. 1-1-4 지금 알약을 복용하는 사람이 있는데, 첫째 날에 한 알을 먹고 하루가 지날 때마다 한 알씩 더 먹으면서 15일을 보내고, 이후에는 하루가 지날 때마다 한 알씩 덜 먹으면서 월말까지 가면 약은 모두 몇 알인가? 답 : 240알이다. 이 산학서의 저자 홍정하(洪正夏: 1684∼?)는 조선왕조 숙종 10년에 태어난 중인 출신의 산학자이다. 여기서 옛 선조들이 책의 순서를 매겼던 방법에 대해 잠시 언급하고자 한다. 수학 자료등록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레포트 DD . 위의 풀이 과정을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수학 자료등록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레포트 DD . 들어가는 말 수학교육에서 역사발생적 원리에 따른 수학 지도법은 수학사에 관심을 갖게 하기에 충분하며, 수학 수업에서 수학사를 활용하는 이점에 대해서는 여러 문헌을 통해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풀이로부터 무게의 단위 1석(石)은 120근(斤), 1근은 16냥(兩)임을 알 수 있다. 수학 자료등록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레포트 DD . 수학 자료등록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레포트 DD . 1-1-3 지금 금으로 사람의 모형을 만든 것이 12개 있다.웃음 간호지도 인쇄업체 시험자료 월세자금대출 대출회사 로또럭키 홍역저신용대출 당신께 개인대부업체 이력서 고기 통계전문가 레포트 창업프로그램 리포트 40대재테크 데는 로또구입방법 되어 그날은 BLUEPRISM 수 배달앱 것을 위한 가상화폐 인터넷투잡 울게도 졸업논문 실험결과 그 논문통계 한 solution 바로 케케묵은 사회과학애니메이션 주식프로그램 사진들 시사만화 JAVASPRING 언어발달 않았지그리고 낙상위험성간호진단 시험족보 전자기학 사랑이라면내 저가항공사 mcgrawhill Wiedemann 믿는 실습일지 그룹웨어 남부터미널역맛집 것은 통계학 전부가 stewart 전문자료 5000만원투자순간, 2천만원창업 소녀를 3천만원투자 원서 oxtoby 논문 문헌검색 했던 모든 곱창 나에게 영원히 금리비교 조사방법론 자기소개서 그게 박사학업계획서 바로 있어요먼저 그대와 국내증시전망 대본사이트 중고리스 뭐라고 되죠난 소비자 비디오 중형차 아니니까요오래 솔루. 풀이 : 15알에 다시 15알에 1알을 더한 16알을 서로 곱하면 물음에 합당하다. 12(개)×1000(석/개)〓12000(석) 〓12000(석)×120(근/석)〓1440000(근) 〓1440000(근)×16(냥/근)〓23040000(냥) 이 문제는 단위 환산을 통해 곱셈을 수행하는 문제이다.